셔터와 조리개의 황금비 카메라 노출시스템의 이해

이미지
필름 카메라든 디지털카메라든 사진이 찍히는 원리는 동일합니다. 렌즈로 모아진 빛이 카메라 내부의 셔터막을 통과하여 필름(또는 디지털카메라는 이미지센서)에 닿으면서 사진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사진이 밝게 나오기도 하지만 때로는 어두운 사진이 나오기도 합니다. 동일한 광원과 촬영조건이라도 촬영자에 따라서 사진이 어둡거나 밝게 나오기도 합니다. 이는 사진의 노출과 관련된 문제로 사진의 노출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3가지 요소는 조리개(Aperture), 셔터스피드(Shutter Speed), 필름감도(ISO)입니다. 이 세 가지의 요소들은 사진의 밝기뿐 아니라 사진의 심도와 표현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 3가지 핵심 요소의 개념과 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여 사진의 품질을 결정 하는지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합니다.  1. 조리개 (Aperture) 조리개는 카메라 내부로 빛이 통과할수 있는 통로(구멍)이라고 이해를 하면 되는데요. 조리개는 카메라 렌즈 안에 들어있는 얇은 막으로 되어 있고, 이 막을 열었다 닫았다 하면서 빛이 들어오는 양을 조절하게 됩니다.  조리개 숫자가 커질수록 구멍은 작아지고, 숫자가 작아질수록 구멍이 커지면서 많은 빛이 들어오게 됩니다. F32, F16, F11, F8, F5.6 F4, F2.8, F2.0, F1.8, F1.4 등으로 표기되며, 숫자가 작을수록 구멍이 크고 숫자가 커질수록 빛이 들어오는 구멍도 커지게 됩니다.  F1.4에 비해서 F2.0은 두 스탑 어두운 사진이 나오게 됩니다(동일한 조건에서) 이러한 조리개값은 빛의 양도 조절을 하면서 사진의 심도(Depth of Field)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조리개 숫자가 커질수록 구멍은 작아지고 심도가 깊어지면서  피사체와 배경 모두가 선명한 사진이 만들어지게 됩니다(팬포커싱) 반대로 조리개 숫자가 작아질수록 구멍은 커지면서 심도가 얕아지고 피사체는 선명하지만 배경이 흐려지는 아웃포커싱이 됩니다.  주로 풍경사진 촬영시에는 F5.6 ...

망원 세계의 작은 혁명 반사렌즈(Reflex Lens)를 아시나요?

이미지
  카메라 렌즈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독특한 구조와 사진 결과물로 주목받는 렌즈가 있습니다. 바로 반사렌즈(Reflex Lens)입니다. "미러 렌즈", "카타디오프트릭 렌즈(catadioptric lens)"라고도 불리는 이 렌즈는 반사경을 이용해 빛을 모으는 방식으로 설계된 특수한 렌즈입니다. 렌즈 특성상 부피가 크면서 초점 거리가 길고 고정 조리개를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가장 큰 특징이라면 사진이 부드러우면서 도넛 보케가 화려하다는 점입니다. 가끔 엉뚱하거나 재미있는 사진을 찍고 싶다면 잠시 반사렌즈를 마운트 해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듯합니다.  경제적인 가격으로 도넛보케가 환상적인 초망원의 세계를 즐겨보세요!  반사렌즈(Reflex Lens)의 원리 반사렌즈는 이름 그대로 거울(반사경)을 활용해 초점을 맞추는 렌즈입니다. 굴절식 렌즈처럼 유리 렌즈만을 사용하지 않고 렌즈 내부에 오목거울과 볼록거울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 구조는 천체망원경과 유사하며, 빛을 여러 번 반사시켜 길이는 짧게하거나 초점거리는 길게 만들 수 있습니다. 즉, 500mm 이상의 초망원 촬영을 작은 크기의 렌즈로 가능하게 해주는 장점이 큰 렌즈입니다. 반사렌즈는 보통 다음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전면 오목거울: 렌즈 전면 안쪽에 위치하며, 빛을 뒤쪽으로 반사합니다. 중앙 볼록거울: 후면에 위치해 다시 한 번 빛을 반사하여 카메라 센서나 필름으로 유도합니다. 중앙 차폐(Secondary Mirror Block): 렌즈 중앙에 위치한 반사체는 빛을 차단하기 때문에 특유의 도넛형 보케를 만들어냅니다. ▶  반사렌즈와 일반 광학렌즈의 비교(차이점) 항목  반사렌즈 (Reflex Lens) 일반 광학 렌즈 (Refractive Lens) 광학방식 반사 + 굴절 (거울 사용) 굴절 (유리 렌즈만 사용) 크기/무게 작고 가벼움 크고 무거움 (특히 망원) 초점거리 길지만 컴팩트 초점거리 비례해서 렌즈도 커...

소리가 아름다운 펜탁스 SV 기계식 필름카메라

이미지
 펜탁스(Pentax)는 일본의 대표적인 카메라 브랜드 회사로  빈티지 카메라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사용해 봤을 정도로 인기 있는 카메라입니다. 펜탁스 초기의 Spomatic 시리즈 중에서도 1962년 등장한 "펜탁스 SV는 단순한 필름카메라를 넘어 사진 역사 속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중요한 기종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내구성이 기계적 완성도가 뛰어납니다. 펜탁스 SV의 기본 스펙,과 SV를 사랑한 작가들의 활용 사례 등을 정리하면서  펜탁스라는 브랜드에 대해서 조금 더 깊이 알아보고자 합니다.  펜탁스 SV의 기본 스펙 출시년도: 1962년 제조사: Asahi Optical Co. (후의 Pentax) 필름 포맷: 35mm 셔터 방식: 포컬 플레인 셔터 셔터 속도: B, 1초 ~ 1/1000초 노출계: 비내장 (후기형에는 외장 노출계 가능) 렌즈 마운트: M42 스크류 마운트 뷰파인더: 펜타프리즘, 시야율 약 93% 무게: 약 590g (렌즈 제외) 펜탁스 SV는 기계적 완성도가 높으면서 필름 와인딩과 셀프타어머가 돌아가는 소리가 감성적입니다. SV는 자동화 기능은 없지만, 기계식 카메라의 정수라 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카메라를 조작하고 촬영하는 재미가 있고 내구성이 탁월해 지금도 현역으로 사용하는 필름 유저들이 많은 편입니다.  디자인적 특징 – 미니멀리즘의 아름다움 펜탁스 SV의 디자인은 지금 봐도 세련되고 절제된 아름다움이 있습니다. 심플한 실루엣: 군더더기 없이 매끈한 외형으로 기계적인 구조를 최소화하고 직관적인 배치를 보여줍니다. 메탈릭 바디: 크롬 도금 금속과 검은 가죽 커버의 조화는 클래식 카메라의 정석 그 자체입니다. 고급 감성의 조작부: 셔터 다이얼, 필름 감기 레버 등 손맛이 좋고 부드러운 조작감을 자랑합니다. 노출계 미탑재: 오히려 이것이 장점이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사진의 본질에 집중할 수 있게 해 줍니다.(상단 핫슈에 장착할 수 있는 외장 노출계가 출시되어 있음) 사진을 단순히 ...

두 개의 렌즈가 주는 클래식 감성, 이안리플렉스 카메라

이미지
필름 카메라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이안 리플렉스 카메라(TLR- Twin Lens Reflex) 카메라에 대해 들어봤을 것입니다. 193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TLR 카메라는, 두 개의 렌즈를 사용해 독특한 방식으로 이미지를 포착하는 클래식한 중형 필름 카메라입니다. 두 개의 렌즈를 가졌고, 위에서 수직으로 내려다보는 웨이스트레벨 파인더는 촬영의 편의성을 떠나 최고의 클래식한 카메라로 손색이 없습니다. 두 개의 렌즈와 허리 높이에서 피사체를 바라보는 TLR은 가장 클래식한 감성을 선물해줍니다. TLR 카메라가 어떤 카메라이고 어떠한 매커니즘에 의해서 촬영 편의성이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TLR 카메라란? TLR은 "Twin-Lens Reflex" 의 약자로, 말 그대로 두 개의 렌즈가 수직으로 나란히 배치된 카메라입니다. 위쪽 렌즈는 촬영자가 보는 뷰파인더용 렌즈(Viewing Lens), 아래쪽 렌즈는 실제로 필름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촬영용 렌즈(Taking Lens)로 구성됩니다. 이 두 렌즈는 동일한 초점을 공유하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뷰파인더용 렌즈를 통해 구도를 잡고 동시에 동일한 이미지를 필름에 담을 수 있게 됩니다. 카메라 상단의 뷰파인더 덮개를 열면 포커스 스크린을 통해서 이미지를 볼수가 있습니다. 이 장치를 웨이스트 레벨파인더(waist-level finder)라고 하고 촬영자의 허리 높이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면서  구도를 잡아 촬영을 하게 됩니다. 이는 TLR만의 독특한 촬영 경험을 제공하며, 대부분의 실내 촬영용 중형카메라에서는 이 웨이스트 레벨파인더 방식으로 촬영을 하게 됩니다. TLR 카메라의 편의성 대부분의 TLR 카메라는 셔터 소리가 매우 조용하고 진동도 없습니다. 이는 일반 중형이나 35mm 카메라 렌즈의 구경보다 작은 촬영렌즈를 갖고 있어서 그렇습니다. 정숙한 셔터음은 거리 사진(스트리트 포토그래피)과 인물 촬영에서 피사체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흔들림 없는 순간포착과 자연스...

소련의 숨겨진 명기, 이스카라 중형 폴딩카메라

이미지
러시아의 숨겨진 중형 명기, 이스카라(Iskra)을 아시나요? 필름 카메라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중형 카메라에 대한 로망을 가져봤을 것이다. 특히 6x6 포맷의 묵직한 해상력과 아날로그 감성을 모두 담아낼 수 있는 중형 필름 카메라는 디지털 시대에도 여전히 매력적인 촬영 도구입니다.  인더스터 렌즈(Industar)를 장착한 이스카라(Iskra)는 1960년대 소련 KMZ(Krasnogorsk Mechanical Works)에서 만든 중형 폴딩 필름 카메라로, 필름 카메라 수집가들과 빈티지 사진 애호가들 사이에서 가끔 거래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구하기가 어려운 카메라입니다.  중형 필름 카메라의 기계적 특징 일반적인 35mm 필름 카메라와 비교할 때, 120mm 필름을 사용하는 중형 필름 카메라는 다음과 같은 뚜렷한 장점이 있습니다. 해상력과 디테일: 6x6, 6x7의 넓은 필름으로 뛰어난 해상력과 공간감 표현이 뛰어납니다. 아웃포커싱: 얕은 피사계 심도와 부드러운 배경 흐림이 잘 표현됩니다. 은은한 톤과 색감: 부드러운 그러데이션과 자연스러운 색의 표현에서 탁월합니다. 이러한 특성은 인물 사진, 풍경 사진, 패션 및 예술 사진에서 큰 강점을 가지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전문 상업 사진작가나 다큐멘터리 기록사진이나 인물 프로필 사진에서 중형 카메라를 활용하게 됩니다. 러시아 카메라와 인더스터(Industar) 렌즈 러시아 카메라들은 대체로 독일 카메라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이 됩니다. 대표적인 브랜드로는 제니트(Zenit), 루비텔(Lubitel), 페드(FED) 등이 있으며 실용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모델로 출시되어 왔습니다. 빈티지한 색감의 인더스터 렌즈를 장착한 러시아 카메라들은 일본이나 독일의 카메라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국내에서는 라이카 바로낙을 카피한 제품류가 인기입니다.  인더스터 렌즈(Industar)를 장착한 이스카라(Iskra)는 소련 KMZ에서 만든 120mm 폴딩 필름카메라입니다. 1) 러시...

80년대 수학여행의 추억, 올림푸스 Pen 카메라

이미지
1980년대, 대한민국의 중고등학교를 다닌 세대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찍어봤을 카메라가 있습니다. 바로 올림푸스 Pen(Olympus Pen)이라는 35mm 필름카메라입니다. 지금처럼 스마트폰 하나면 사진을 수백 장 찍을 수 있는 시대와는 달리, 당시의 학생들에게 카메라란 특별한 날에만 만져볼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의 기록과 셀레임이었습니다. 그 기록을 담당했던 주인공이 바로 올림푸스 Pen 카메라였던 것이죠! 24장 필름을 넣고 48장의 추억을 기록하다. 올림푸스 Pen은 하프 프레임의 카메라(Half-frame camera)입니다. 일반 필름 한 장에 두 장의 사진을 찍을 수 있어, 36장짜리 필름 한 통으로 무려 72장을 찍을 수 있는 경제성이 뛰어난 카메라였습니다. 당시엔 필름의 구매비용과 현상, 인화비용이 결코 저렴하지 않았고, 처음으로 만져보는 카메라가 낮설면서 고장에 대한 걱정이 있었지만 이 카메라는 구도만 잡고 셔터만 누르면 준수한 사진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그야말로 가성비 최고에 누구나 쉽게 찍을수 있었던 특성으로 수학여행이나 소풍, 체육대회 같은 행사에서 빠지지 않는 렌털카메라의 대표 모델이었습니다. 1980년대 학찰시절의 추억이 가득한 올림푸스 Pen 하프 필름카메라  셔터만 누르면 훌륭한 사진이 나왔다 Pen 시리즈는 작고 가벼운 바디, 그리고 조작이 쉬운 구조 덕분에 카메라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도 어렵지 않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사진관에서 렌털시 아저씨가 미리 필름을 넣어주었기에 간단한 노출 설정만으로 누구나 간단하게 학창 시절의 추억을 찍고 기억하는 게 가능했던 것이죠. 또한  피사체(인물)와 1.5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해주면 선명한 사진이 나왔기에 초점을 맞출 필요도 없었습니다. 지금도 장농에는 그때 올림푸스로 찍었던 추억이 빛바랜 모습으로 남아 있습니다  올림푸스 Pen EE  올림푸스 Pen EE 시리즈(Pen EE, EE-2, EE-3)는 기술과 실용성의 절묘한 조화를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