셔터와 조리개의 황금비 카메라 노출시스템의 이해

필름 카메라든 디지털카메라든 사진이 찍히는 원리는 동일합니다. 렌즈로 모아진 빛이 카메라 내부의 셔터막을 통과하여 필름(또는 디지털카메라는 이미지센서)에 닿으면서 사진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사진이 밝게 나오기도 하지만 때로는 어두운 사진이 나오기도 합니다. 동일한 광원과 촬영조건이라도 촬영자에 따라서 사진이 어둡거나 밝게 나오기도 합니다. 이는 사진의 노출과 관련된 문제로 사진의 노출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3가지 요소는 조리개(Aperture), 셔터스피드(Shutter Speed), 필름감도(ISO)입니다. 이 세 가지의 요소들은 사진의 밝기뿐 아니라 사진의 심도와 표현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 3가지 핵심 요소의 개념과 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여 사진의 품질을 결정 하는지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합니다. 1. 조리개 (Aperture) 조리개는 카메라 내부로 빛이 통과할수 있는 통로(구멍)이라고 이해를 하면 되는데요. 조리개는 카메라 렌즈 안에 들어있는 얇은 막으로 되어 있고, 이 막을 열었다 닫았다 하면서 빛이 들어오는 양을 조절하게 됩니다. 조리개 숫자가 커질수록 구멍은 작아지고, 숫자가 작아질수록 구멍이 커지면서 많은 빛이 들어오게 됩니다. F32, F16, F11, F8, F5.6 F4, F2.8, F2.0, F1.8, F1.4 등으로 표기되며, 숫자가 작을수록 구멍이 크고 숫자가 커질수록 빛이 들어오는 구멍도 커지게 됩니다. F1.4에 비해서 F2.0은 두 스탑 어두운 사진이 나오게 됩니다(동일한 조건에서) 이러한 조리개값은 빛의 양도 조절을 하면서 사진의 심도(Depth of Field)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조리개 숫자가 커질수록 구멍은 작아지고 심도가 깊어지면서 피사체와 배경 모두가 선명한 사진이 만들어지게 됩니다(팬포커싱) 반대로 조리개 숫자가 작아질수록 구멍은 커지면서 심도가 얕아지고 피사체는 선명하지만 배경이 흐려지는 아웃포커싱이 됩니다. 주로 풍경사진 촬영시에는 F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