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등산코스와 둘레길 여행 그리고 교통편 정리

한라산 (1,947m) 은 한국에서 가장 높으며, 태고의 원시림과 사계절 내내 아름다운 자연경관으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 명산입니다. 한라산을 오르는 코스는 크게 백록담 코스와 윗세 오름(남벽분기점) 코스로 구분이 됩니다. 주변으로 어승생악과 석굴암이 있고 가족이 함께 걸으면서 문화와 역사를 탑방할 수 있는 자연 숲길인 둘레길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백록담 코스는 사전 방문 예약이 필수이며 성판악과 관음사 2개 코스가 있으면, 윗세 오름은  영실과 어리목 그리고 돈내코에서 출발이 가능합니다. 

한국에서 가장 높고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 제주 한라산 국립공원의  등산 코스 정리와 둘레길에 대해서 정리하고 교통편을 알아봅니다.


한라산국립공원
한라산은 백록담(관음사, 윗세오름)과 윗세오름(영실,어리목,돈내코)으로 등산로가 구분됩니다. 


  • 1-1 백록담 코스 - 성판악 코스
  • 1-2. 백록담 코스 - 관음사 코스
  • 2-1. 윗세 오름 - 영실코스
  • 2-2. 윗세 오름 - 어리목코스
  • 2-3. 윗세 오름 - 돈내코 코스
  • 3-1. 주변 볼거리 - 어승생악
  • 3-3. 주변 볼거리 - 석굴암
  • 4. 한라산의 등산 예약과 교통정보
  • 5. 한라산 둘레길(9코스 약 80km)

1. 백록담 코스

1-1). 성판악 코스

성판악→쏙 밭 대피소 → 진달래밭(7.3㎞)→백록담(9.6㎞)

총 9.6㎞ 3시간 30분에서 4시간 정도가 걸리는 장거리입니다.
쏙 밭 대피소까지는 아주 완만한 코스로  등산 초반에 몸을 풀면서 천천히 걷기가 좋습니다. 이후 사라 오름 갈림에서부터 조금씩 오르막이 시작되면서 진달래밭 대피소 이후부터 본격적인 오르막이 시작됩니다. 오르막이 시작되지만 하늘이 열리고 조망이 트이기에  크게 힘들지는 않을 듯합니다.
성판악 코스는 관음사에 비해서 등산로 정비가 잘 되어 있기에, 초보자들도 시간적 여유를 가진다면 충분히 즐거운 산행이 될 수 있습니다.

제주공항 2번 게이트 앞에서  181번 버스,  제주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281번 버스 이용 (성판악까지 약 40분)

1-2). 관음사

관음사 지구 야영장→삼각봉 대피소(6㎞)→백록담 정상(8.7㎞)

총 8.7Km로 4-5시간 정도 걸립니다.
성판악 코스에 비해서 힘든 코스이기에 초보자는 가능하면 성판악을 이용하는 게 좋습니다.  등산로에 돌이 많고, 삼각봉 대피소 지나 용진 각대 피소(구) 이후부터 가파른 오르막이 시작됩니다. 겨울철에 이 구간은 눈이 얼어붙어서 등산로가 미끄럽습니다. 
성판악에 비해서 힘든 코스이지만, 구상나무 군락지와 왕 광릉, 백록담 북벽 능선이 이국적인 풍경을 제공하고 아름답습니다. 하산 코스로 선택하면 좋을듯합니다.

제주시 시외버스터미널에서 281번 타고, 제주대학교 내려 관음사 방향 475번 환승해서 관음사 앞에 하차
공항에서 관음사까지 택시비는 약 22000원 내외


백록담
윗세오름은 설경과 5-6월의 철쭉이 아름답고, 백록담은 언제가도 발아래 풍경이 황홀합니다.  


2. 윗세 오름 코스

2-1). 영실코스

영실 탐방센터→윗세 오름(3.7㎞)→남 벽 분기점(5.8㎞) 

윗세 오름으로 가는 가장 짧은 코스이면서 경치가 좋습니다. 영실 탐방센터에서 윗세 오름까지는 1시간 30분에서 2시간 정도 걸립니다. 초반 30분 정도 오르막 구간이 있지만, 이후부터는 대부분 완만한 편으로 누구나 쉽게 오를 수가 있습니다.

시간이 되면 남벽분기점까지 다녀오는 걸 추천합니다. 서귀포 앞바다가 내려다보이고, 5-6월에는 백록담 분화 벽 아래로 진달래와 철쭉이 아름다운 곳입니다. 

제주시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서귀포까지 왕복하는 시외버스 240번 이용(50분)
영실 매표소에서 내려 영실 탐방센터까지 약 40분쯤 걸어가야 합니다. 
자가용이나 택시는 영실 탐방센터 앞까지 들어갈 수 있습니다. 


2-2). 어리목

어리목→윗세 오름(4.7㎞)→남 벽 분기점(6.8㎞)

어리목 주차장에서 윗세 오름까지는 약 2시간 30분 정도 걸립니다. 초반에는 숲이 우거지고 약간 경사진 코스가 이어집니다. 약 1시간 이후부터 하늘이 열리면서 멀리 백록담 분화 벽을 보면서 걸어가게 됩니다.  
겨울에 눈이 쌓이면 아름답게 발아래로 제주의 크고 작은 오름이 눈에 들어옵니다.

제주시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서귀포까지 왕복하는 240번 이용(제주시에서 약 35분)
어리목 입구에서 내려서 탐방센터까지 20분쯤 걸어야 합니다.
어승생악(오름)도  어리목 탐방센터에서 출발합니다.


2-3). 돈내코

돈내코 탐방안내소→평괴 대피소(5.3㎞)→남 벽 분기점(7㎞) 

윗세 오름 코스 중에서 가장  통제가 많고 코스가 길고 교통도 불편한 편입니다
그런 이유로 등산객들이 잘 이용하지 않는 코스입니다. 희귀 식물이나 남벽분기점의 아름다운 풍경이 좋은 곳입니다. 시간이 된다면 윗세 오름에서 돈내코로 하산을 해도 좋을 듯합니다.

제주시에서 281번 버스 타고,  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 앞에서 하차 -> 시내버스 611,612 환승 후 충혼묘지 광장에서 하차 후 1킬로미터(20분) 걸으면 돈내코 탐방안내소가  있습니다.

그 외 한라산 주변의 볼거리로는 어승생악(오름)과 석굴암을 둘러볼 수 있습니다.

3. 한라산 주변 볼거리

3-1). 어승생악

탐방안내소(어리목) → 어승생악 정상(1.3㎞) 

어승생악은 해발 1,169m의 제주 오름으로써 자연 생태가 잘 보전되어 있는 자연학습 탐방로입니다. 맑은 날에는 멀리 추자도, 비양도, 성산 일출봉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며 눈이 내리면 설산을 구경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들이랑 가볍게 오르기 좋은 한라산 등산로입니다.
어리목 탐방센터(주차장)에서 약 30분이면 오를 수 있습니다. ​

제주시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서귀포까지 왕복하는 240번 이용(제주시에서 약 35분)
어리목 입구에서 내려서 탐방센터까지 20분쯤 걸으면 이정표가 나옵니다.

3-2). 석굴암

국립 제주호국원 주차장에서 석굴암까지 1.5Km로 약 50분 거리입니다.
제주나 서귀포에서 240번 버스를 타고 충혼묘지 입구에서 하차
천왕사 사찰 입구에서  삼나무 숲길을 10여 분 걸으면 탐방로가 시작되는 국립제주호국원 주차장에 도착하게 됩니다.

4. 한라산의 등산 예약과 교통정보

▶ 한라산 국립공원
실시간 CCTV, 한라산 산간 날씨, 탐방로 통제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라산은 겨울철 등산로 통제가 잦은 편입니다.
제주로 출발하기 전 국립공원 홈페이지에서 실기 간 기상과 등산로 통제 여부를 확인하고 가야 합니다.

 ▶제주 버스 정보시스템
제주 노선버스 정보, 실시간 위치, 경로 검색

 ▶한라산 탐방 예약(관음사, 성판악)
한라산 성판악 탐방로와 관음사 탐방로는 1개월 전부터 예약해야 하고, 그 외 코스는 예약 없이 탐방 가능합니다.
1인 4매까지 예약이 가능하고, 예약 후 취소 없이 탐방하지 않으면 1회 3개월, 2회 1년간 예약할 수 없습니다. 기상특보 발령 시(태풍, 강풍, 대설, 호우, 한파 등 주의보, 경보) 현지 여건 감안 통제가 됩니다.

​▶ 백록담 코스 통제시간( 동절기 10월~3월, 하절기 4~9월)

  • 동절기 05부터 11시 30분까지 입산(진달래밭 통제소, 삼각봉 대피소에서 11:30 탐방 통제), 정상에서 13:30 하산
  • 하절기 05부터 12시 30분까지 입산(진달래밭 통제소, 삼각봉 대피소에서 12:30 탐방 통제), 정상 하산 14:30 하산
  • 영실/어리목코스 통제는 동절기 12시 이후 통제,  하절기는 15시 이후  통제

한라산 백록담이나 윗세 오름 탐방로 내에는 매점이 없습니다. 모든 등산 장비와 먹을거리, 물, 도시락은 미리 준비해서 가야 합니다.
백록담 코스는 왕복 20Km 가까이 되는 장거리 산행이기에 배낭을 가볍게 해서 최대한 일찍 올라야 합니다. 겨울철에는 반드시 사전에 한라산 홈페이지에서 등산로 통제 여부 및, 구간별 통제시간을 확인하고 출발하여야 합니다.

5. 한라산 둘레길

한라산 둘레길은 제주도의 상징인 한라산을 중심으로 조성된 걷기 좋은 둘레길로, 9개 구간 총 길이 약 80Km로 자연을 가까이에서 느끼며 한라산의 다양한 생태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비등산형 탐방로입니다.
삼나무나 편백, 야생화의 풍부한 자연환경과 문화와 역사를 체험할 수 있는 코스로 한라산 등반이 부담스러운 사람들에게도 알맞은 트레킹 코스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천아숲길 - 돌오름길 - 산양휴양림 - 동백길 - 수악길 - 시험림길 - 사려니숲길 - 절물조릿대길 - 수모르편백숲길 / 9코스 약 80km


한라산둘레길
한라산 둘레길은 등반이 부담스러운 사람들에게도 알맞은 트레킹 코스입니다.


5-1) 천아숲길

천아숲길 입구(천아 계곡)-임도 삼거리-노로 오름 삼거리-보림 농장 삼거리 / 8.7Km 약 4시간

천아 수원지에서 보림 농장 삼거리까지 8.7km의 구간으로 한 대 오름, 노로 오름, 천 아오름 등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240번(제주~중문 노선)
- 제주시 버스터미널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중문)에서 50~60분 간격 출발
- 한라산 둘레길(천아 숲길 입구) 버스정류장에서 승·하차
- 영실 입구 버스정류장에서 승ㆍ하차(18임반 입구, 도보 5분)

5-2) 돌오름길

보림 농장 삼거리 - 돌오름 삼거리 - 표고재배 삼거리 - 용바위 - 서귀포 자연 휴양림 입구 / 8Km 약 3시간 30분

보림 농장 삼거리에서 서귀포자연휴양림 입구까지 8km의 구간으로 거린사슴 오름과 돌오름에 오르면 한라산과 법정이 오름, 볼레 오름, 노로 오름, 삼 형제 오름 등이 병풍처럼 펼쳐지는 등 제주 서남부 지역 경관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240번(제주~중문 노선)
- 제주시 버스터미널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중문)에서 50~60분 간격 출발
- 서귀포자연휴양림 입구에서 하차
- 영실 입구 버스정류장에서 승ㆍ하차(18임반 입구, 도보 5분)

5-3) 산양휴양림

서귀포자연휴양림 입구 - 도순천 - 무오법정사 / 2.3Km 약 1시간

귀포 자연휴양림(유료입장) 2.3km 구간(산림 휴양기)을 통과하여 동백 길로 진입하면 무오법정사 항일기념탑과 전망대가 있는 구간으로 나오게 됩니다.

240번(제주~중문 노선)
- 제주시 버스터미널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중문)에서 50~60분 간격 출발
- 서귀포자연휴양림과 무오 정법사 입구에서 승·하차

5-4) 동백길

무오법정사 - 허점이 악 삼거리 - 시오름 삼거리- 돈내코 탐방로 / 11.3Km 약 5시간

동백 길은 무오법정사에서 동쪽 방향으로 돈내코 탐방로까지 이어지는 11.3km의 구간으로 일제강점기 항일운동의 성지였던 무오법정사와 4·3의 아픈 역사를 간직한 주둔도, 화전민 터 등과 동백나무 및 편백나무 군락지, 법정이 오름, 허점이 오름, 시오름, 모악산, 강정천, 악 그 천 등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240번(제주~중문 노선)
- 제주시 버스터미널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중문)에서 50~60분 간격 출발
- 무오법정사 입구에서 승·하차

611, 612번 (충혼묘지~서귀포)
- 서귀포 중앙 R와 돈내코 충혼묘지 버스정류장에서 24회 운행

5-5) 수악길

돈내코 탐방로 - 산정 화구 - 수악 안내소 - 이승학 / 11.5Km 약 4시간 30분

수악 길은 돈내코 탐방로에서 이승학 사이 11.5km의 구간으로 물 오름(수악), 보리 오름, 이승이 오름 등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281번 (제주~서귀포)
- 제주시와 서귀포 시외버스터미널에서 매 10~15분 간격 출발
- 한라산 둘레길(5.16도로) 수악길 잎 출구에서 승. 하차
- 서귀포 과학고등학교 입구에서 하차 1시간 도보 돈내코 탐방안내소 도착

611, 612번 (충혼묘지~서귀포)
- 서귀포 중앙 R와 돈내코 충혼묘지 버스정류장에서 24회 운행

5-6) 시험림길

이승학 - 시험림길 입출국 - 클론보존원(하늘길) - 시험림길 삼거리 / 9.4Km 약 3시간
개방 기간 : 5월 16일~ 10월 31일

281번 (제주~서귀포)
- 제주시와 서귀포 시외버스터미널에서 매 10~15분 간격 출발
- 한라산 둘레길(5.16도로) 수악길 잎 출구에서 승. 하차

222번(표선), 232번(서귀포), 212번(성산)
- 제주시 버스터미널에서 30~40분 간격 출발
- 사려니숲길(비자림로) 입구에서 승. 하차

131번, 132(급행), / 231,232번(일반 간선)
- 제주시 버스터미널과 서귀포등기소에서 20~25분 간격 출발
- 남조로 사려니 숲길 입구에서 승. 하차

5-7) 사려니숲길

사려니숲 입구 - 시험림길 삼거리 - 사려니숲길 삼거리 - 사려니숲길 입구(남조로) / 10Km 약 3시간

사려니숲길은 제주시 봉개동 절물 오름 남쪽 비자림로에서 물찻오름을 지나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붉은오름까지 이어지는 10km의 숲길을 말합니다. 

232(서귀포), 212(성산)
- 제주시 버스터미널에서 30~40분 간격 출발
- 사려니숲길(비자림로) 입구에서 승·하차

131, 132(급행) / 231, 232(일반 간선) 
- 제주시 버스터미널과 서귀포등기소에서 20~25분 간격 출발
- 남조로 사려니숲길 입구에서 승·하차

5-8) 절물조릿대길

사려니 숲 입구 - 사려니 숲 주차장 - 절물자연휴양림 입구  / 3Km 약 1시간

절물 조릿대 길은 2013년 사려니숲길~봉개 3km 구간 조성된 숲길을 말하며, 2016년 사려니숲길 주차장이 완공 조성되면서 기존 구간을 확장 정비하여 사려니숲길 임도 구간과 주차장을 연결하는 산림문화생태탐방로로 한라산 둘레길의 연장된 노선입니다.

222(표선), 232(서귀포), 212(성산)
- 제주시 버스터미널에서 30~40분 간격 출발
- 사려니숲길(비자림로) 입구에서 승·하차

344(버스터미널 경유) 343(용담 경유) 
- 제주 국제공항에서 40~50분 간격 출발
- 절물자연휴양림 입구에서 승·하차

5-9) 수모르 편백숲길

절물자연휴양림 입구 - 세 개 오리 정상 - 한라산생태숲  / 6.6Km 약 2시간 30분

절물자연휴양림 입구에서 한라생태숲까지 이어지는 6.6km의 숲길로 편백나무와 삼나무 숲이 길게 펼쳐져 있으며 노루생태관찰원이 있는 거친 오름과 절물자연휴양림 내 절물 오름 등이 있습니다

281번(서귀포), 232번(서귀포), 222(표선), 212(성산)
- 제주시와 서귀포 시외버스터미널에서 매 10~15분 간격 출발
- 한라생태숲에서 하차

344(버스터미널 경유), 343(용담 경유)
- 제주 국제공항에서 40~50분 간격 출발
- 제주절물자연휴양림 입구에서 승·하차


이상으로 한라산 국립공원의 등산 코스와 주변 볼거리 그리고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둘레길을 정리해 봤습니다. 한라산 백록담은 하루 일정을 잡아야 하고, 윗세 오름은 4-6시간 그리고 둘레길은 본인의 스케줄에 맞게 적당한 코스를 선택하면 될듯합니다.

이제 곧 눈이 녹고, 윗세 오름으로 가는 등산로에는 털진달래와 철쭉이 화려한 봄을 준비하고 있을듯합니다. 5-6월에는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가볍게 한라산으로 소풍을 떠나도 좋을듯합니다.

이 블로그에서 많이 본 글

대구 팔공산 갓바위의 조형미와 가는길(경산방면)

필름카메라 현상과 사진인화(디지털 스캔)절차와 시간

주말에 가볼 만한 곳 영천시 임고강변공원 무료 캠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