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RF 자동카메라인 게시물 표시

80년대 수학여행의 추억, 올림푸스 Pen 카메라

이미지
1980년대, 대한민국의 중고등학교를 다닌 세대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찍어봤을 카메라가 있습니다. 바로 올림푸스 Pen(Olympus Pen)이라는 35mm 필름카메라입니다. 지금처럼 스마트폰 하나면 사진을 수백 장 찍을 수 있는 시대와는 달리, 당시의 학생들에게 카메라란 특별한 날에만 만져볼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의 기록과 셀레임이었습니다. 그 기록을 담당했던 주인공이 바로 올림푸스 Pen 카메라였던 것이죠! 24장 필름을 넣고 48장의 추억을 기록하다. 올림푸스 Pen은 하프 프레임의 카메라(Half-frame camera)입니다. 일반 필름 한 장에 두 장의 사진을 찍을 수 있어, 36장짜리 필름 한 통으로 무려 72장을 찍을 수 있는 경제성이 뛰어난 카메라였습니다. 당시엔 필름의 구매비용과 현상, 인화비용이 결코 저렴하지 않았고, 처음으로 만져보는 카메라가 낮설면서 고장에 대한 걱정이 있었지만 이 카메라는 구도만 잡고 셔터만 누르면 준수한 사진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그야말로 가성비 최고에 누구나 쉽게 찍을수 있었던 특성으로 수학여행이나 소풍, 체육대회 같은 행사에서 빠지지 않는 렌털카메라의 대표 모델이었습니다. 1980년대 학찰시절의 추억이 가득한 올림푸스 Pen 하프 필름카메라  셔터만 누르면 훌륭한 사진이 나왔다 Pen 시리즈는 작고 가벼운 바디, 그리고 조작이 쉬운 구조 덕분에 카메라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도 어렵지 않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사진관에서 렌털시 아저씨가 미리 필름을 넣어주었기에 간단한 노출 설정만으로 누구나 간단하게 학창 시절의 추억을 찍고 기억하는 게 가능했던 것이죠. 또한  피사체(인물)와 1.5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해주면 선명한 사진이 나왔기에 초점을 맞출 필요도 없었습니다. 지금도 장농에는 그때 올림푸스로 찍었던 추억이 빛바랜 모습으로 남아 있습니다  올림푸스 Pen EE  올림푸스 Pen EE 시리즈(Pen EE, EE-2, EE-3)는 기술과 실용성의 절묘한 조화를 보여줍니다....

필름카메라를 가방에 넣었다.캐논 QL17

이미지
늘 반복되는 일상이 지루하고 답답할 때 나는 아날로그의 감성에 마음이 끌린다. 사진을 찍고 바로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DSLR은 편리하지만 아무런 느낌이 없다. 때로는 ‘기다림’이라는 감정에서 오는 설렘이라는 특별함이 그리워진다.  오래전 서랍 속에 넣어뒀던 필름을 현상하고 스캔을 하고나면 오래된 첫사랑을 만난 듯 머릿속에 엔도르핀이 솟아나면서 묘한 감정을 느끼게 된다. 그렇게 필름카메라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여러 브랜드를 찾아보다가 운명처럼 캐논 QL17을 알게 되었다. 1. 캐논 QL17을 만나다 캐논 QL17 GIII 는 1960년대 후반부터 70년대까지 생산된 35mm 필름카메라로, 당시엔 ‘서민의 라이카’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로 성능과 디자인이 뛰어난 기종이었다. 작고 단단한 외형, 조리개와 셔터 속도를 직접 조절할 수 있는 수동 조작 방식, 그리고 무엇보다도 렌즈의 선예도가 정말 뛰어나다는 평이 많았다. 캐논이기에 광학 성능은 어느 정도 기대를 해도 좋을 거 같다. 손안에 쏙 들어오는 크기와 무게감은 평소 외출할 때 가볍게 들고 다니기에 딱 좋다. RF 카메라는 셔터를 누를 때 느껴지는 약간의 저항감, 그리고 카메라 내부에 필름을 넣는 과정에서 느껴지는 아날로그의 기계적인 감성은 특별하다. 특히 QL17의 ‘QL’은 Quick Load의 약자인데, 이 기능 덕분에 필름 장전이 매우 간편하다. 필름카메라 초보자라도 실패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어서 입문용 필름카메라로도 자주 추천된다. 캐논의 뛰어난 광학성능이 돋보이는 입문자용 RF필름카메라  캐논 QL17 GIII의 기본 정보 제조사 : Canon (캐논) 출시년도 : 1972년 (GIII 모델 기준) 필름포맷 : 35mm 필름 렌즈 : Canon 40mm F1.7 고정 렌즈 셔터속도 : 1/4초 ~ 1/500초 조리개 : f/1.7 ~ f/16 측광 방식 :  CdS셀 이용한 자동노출 또는 수동 포커싱 : RF 수동 초점 (Rangefinder 방식) 필...

폴라로이드의 혁신 SX-70 즉석카메라

이미지
  세계 최초의 즉석카메라를 개발했던 폴라로이드는 창립자 에드윈 랜드에 의해 사진 기술과 즉석 인화 시스템의 혁신을 이끈 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광학 및 화학 기술을 기반으로 즉석 사진 기술을 개발 발전시키면서 현대 디지털카메라와 프린팅 기술의 기초를 마련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당시 필름 카메라는 촬영 후 필름을 현상소에서 인화해야 했지만, 폴라로이드는 촬영 후 즉석에서 사진을 출력하는 기술을 개발하면서 당시 팝 아트의 미술사조와 함께 큰 대중적인 인기를 얻게 됩니다. 폴라로이드사의 Sx-70은 자동초점과 뷰파인더 그리고 자동초점이 가능한 모델입니다.  이후 새로운 폴더 형태의 완전 자동 즉석카메라인 SX-70을 개발하게 되면서 관심을 받게 됩니다. 당시 폴라로이드 카메라는 크고 무거워서 휴대성이 떨어졌지만, SX-70은 접는 디자인으로 휴대성을 극대화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폴라로이드 즉석카메라의 기본 개념 현상액이 포함된 필름(인화지)을 카메라에 넣고 촬영을 하면 촬영 후 즉시 화학 반응이 되도록 합니다.  네거티브와 포지티브 필름이 한 장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필름이 카메라의 롤러를 통과하면서 필름속 현상액이 터져서 필름을 적셔주게 됩니다. 방금 촬영한 이미지를 확인하는 데는 100초의 시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현재까지 판매되는 인스탁스나 로모 카메라들도 이런 방법으로 즉석 사진을 만들고 있습니다. SX-70의 디자인과 기능 1). 폴더블 디자인 (Foldable Design) SX-70은 접이식 카메라로 설계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는 평평하게 접을 수 있습니다. 당시 카메라 디자인으로는 혁신적인 형태였으며, 휴대성을 극대화했습니다. 2). 프리미엄 소재 & 고급스러운 외관 메탈 프레임(크롬 마감)과 가죽 커버를 사용하여 고급스러운 감성을 자랑합니다. 가죽 소재는 색상에 따라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세련된 디자인으로 유명했습니다. 3). 일안 반사식(SLR, Single-Lens ...

코카콜라 캔으로 사진을 찍는 필름카메라

이미지
​캔 필름 카메라는 실제 음료수나 맥주 캔과 유사한 디자인으로 제작된 독특한 형태의 필름 카메라를 의미합니다.   토이카메라가 기본 사각 프레임의 디자인에 캐릭터를 이용한 것이라면 캔 필름 카메라는 실제 제품의 캔 디자인과 크게 가 거의 동일하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필름카메라가 유행했던 1990년대에 등장하여, 코카 콜라나 버드와이저 등의 회사에서 브랜드 마케팅 및 프로모션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코카콜라나 버드와이저 등의 브랜드 프로모션용으로 출시가 된 캔 필름카메라 일회용 필름카메라가 아닌 필름만 넣어주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제품으로 프로모션 제품치고는 인기 있는 아이템이었습니다. 핀홀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가끔은 흐릿하거나 몽롱한 사진을 원한다면 활용해볼 카메라일듯 합니다. 캔 필름 카메라의 특징 "마실수는 없지만, 사진을 찍을수 있는 캔 필름카메라" 디자인 실제 음료수 캔과 거의 동일한 외형을 가지고 있어, 겉보기에는 일반 캔처럼 보이지만 카메라 내부에는 110mm, 35mm 필름이 들어가고 실제 촬영이 가능합니다.  대부분은 일회용이 아닌 필름만 넣어서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제한된 깡통 구조로 인해서 셔터나 필름실 와인더의 배치가 조금은 부자연스럽기까지 합니다. ​ 필름 일반적으로 35mm 필름을 사용하며, 일부 모델은 110 포맷 필름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 프로모션 목적으로 만든 제품으로 뛰어난 성능이나 렌즈가 탑재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110mm 카트리지 필름이 들어가는 포켓 카메라가 실용적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요즘 110mm 필름을 현상해주는 현상소를 찾기가 어렵습니다. 기능 기본적인 포인트 앤 슛(Point-and-Shoot) 방식으로, f/10 렌즈와 1/100초의 셔터 스피드를 갖춘 모델이 대표적이지만, 대부분 모델은 고정 셔터와 와인딩만 가능했고 플라스틱 렌즈를 사용했기에 화질이 떨어지는 편이었습니다. 요즘...

이보다 쉬운 카메라는 없다. 110mm 미니 필름카메라

이미지
 1970년 코닥에서 처음 개발된 110mm 필름 카메라는 작고 사용 편리성으로 인해 70-80년대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지만, 이후 확장성과 사진 품질의 한계로 인해서 더 이상 생산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110mm 포켓 카메라라고도 하는데, 작고 가볍고 빈티지한 느낌이라 몇 개 모델을 갖고 있지만 필름을 구하거나 현상에 어려움이 있어 그냥 장식용을 보고 있을 뿐입니다. 110mm 필름카메라의 대표 모델이라 할수 있는 롤라이 A110 110mm 필름카메라의 짧은 역사 1972년 - 코닥의 110 필름 시스템 출시 코닥이 포켓 인 스타 매틱 카메라(Kodak Pocket Instamatic)와 함께 110mm 필름을 처음 발표하였고 콤팩트하고 쉬운 사용 방식으로 전 세계적으로 히트 1970~1980년대 - 대중적인 인기를 누림 110 필름 카메라는 휴대성이 뛰어나고 자동 노출 기능이 적용된 제품이 많아 가족 및 여행용 카메라로 인기를 얻으면서 미놀타(Minolta), 펜탁스(Pentax), 캐논(Canon), 롤라이(Rollei) 등 여러 브랜드에서도 110mm 필름 카메라를 출시 1990년대 이후 - 점차 사라짐 35mm 필름 카메라의 성능이 향상돼 디지털카메라가 등장하면서 110mm 필름의 인기가 감소하면서 시장 자체가 축소 2010년대 이후 - 레트로 붐으로 부활 한때 필름 카메라가 다시 인기를 얻으면서 로모그래피(Lomography)에서 110 필름을 재생산 하면서 아날로그 감성을 좋아하는 일부 유저 들의 향수를 자극 현재는 110필름을 구하기도 어렵고, 국내에서 현상을 해주는 곳은 지극히 제한되어 있습니다. 110mm 필름 카메라는 작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초보자 및 여행용으로 적합합니다. 110mm 카트리지 필름은 초보자들이 사용하기 쉽고 위험 부담도 없습니다. 110mm 카메라의 장점 110mm 필름카메라는 70-80년대 학창시절에 올림푸스 펜카메라와 함께 수학여행 카메라로도 많이 찾던 카메라였...

작고 가벼워 길거리 촬영과 순간 포착에 적합한 RF필름카메라

이미지
  광학거리 측정 방식을 이용해 초점을 맞추는 방식의 카메라를 RF(Rangefinder) 카메라라고 합니다.  SLR카메라는 렌즈를 통해 사물을 직접 보면서 초점을 맞추기는 방식이지만, RF카메라는 이중상 합치방식(Double Image Superimposition)을 사용하여 쉽고 빠르게 초점을 맞출 수가 있습니다.  이런 원리로 인해 필름카메라 입문자들에서부터  전문 스트리트 사진 작가들에게도 사랑받고 있는 카메라입니다.  RF필름카메라의 작동 원리와 장단점에 대해서 정리해봅니다. RF필름카메라의 장점은 빠르게 초점을 맞추어서 촬영이 가능합니다. 레인지 파인더 카메라의 초점 조절 원리 RF카메라는 뷰파인더를 통해서 피사체를 직접 볼 수가 있기에 시차가 적으면서 어두운 환경에서도 촬영이 용이한 콤팩트형 필름카메라입니다.  RF필름카메라의 전면에는 2개의 유리로 된 창이 있습니다.  메인 뷰파인더(Main Viewfinder) → 피사체를 직접 보는 창 보조 거리측정창(Rangefinder Window) → 거리 측정용 창 보조 거리 측정창을 통해 들어온 빛은 카메라 내부의 반사거울(프리즘)을 지나면서 메인 뷰파인더 안으로 투과가 됩니다. 이 반사거울은 렌즈의 초점링과 연결이 되어 함께 움직이게 됩니다.  메인 뷰파인더에는 메인창으로 직접 보는 이미지와 보조 거리 측정창에서 반사되어 들어오는 2개의 이미지가 보여지게 됩니다. 렌즈의 초점링을 돌려서 2개의 상이 하나로 일치가 되면 초점이 맞게 됩니다. 2개의 상이 조금이라도 어긋나면 초점이 맞지 않고 흐린 사진이 나오게 됩니다. 초등학교 시절에 2장의 셀로판지를 겹쳐서 글씨를 맞추는 원리가 같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부드러운 곡선형태의 디자인으로 작고 단단한 야시카 YE  레인지파인더 카메라와 SLR카메라 차이점 초점 방식 이중합치 방식 미러 반사 방식 (TTL) 뷰파인더 거리측정창과 메인 뷰파인더 2개 이용 렌즈를...

작고 예쁜 펜탁스 SLR 필름카메라

이미지
  펜탁스 Auto 110 은 1978년 출시된 세계 최초의  자동 노출식 110mm SLR(렌즈교환식)필름카메라 입니다. 작은 크기이지만 렌즈 교환이 가능하고 어느 정도의 정교함을 갖춘 포켓형 미니 카메라입니다.   펜탁스 110마운트를 사용하기에 렌즈의 종류가 제한되어 있고, SLR이라고 하지만 110mm 카트리지 필름을 사용하기에 사진의 디테일이나 해상력에는 한계가 있는 편입니다. 두 손가락만으로도 편하게 잡을 수 있는 초미니 SLR 필름카메라  펜탁스  Auto 110 기본 스펙 펜탁스   Auto 110은 펜탁스의 기술력과 광학성능으로 기본적인 사진의 해상력과 펜탁스의 감성이 보장이 됩니다. 다만 시대적인 변화로 110mm 카트리지 필름의 현상이 어려운 것이 아쉬울뿐입니다. 출시 연도: 1978년 제조사: Asahi Optical Co. (Pentax) 필름 타입: 110 포켓 필름 (16mm) 카메라 유형: 자동 노출식 SLR (일안 반사식) 셔터 속도: 1/750초 ~ 1초 (전자식) 측광 방식: 중앙부 중점 평균 측광 포커싱: 수동 초점 (MF) 전원: LR44 배터리 크기 및 무게: 약 99mm × 56mm × 43mm, 약 159g (바디) 배터리가 없으면 작동이 되지 않고, 자동 노출 시스템이라 수동 촬영이 불가능합니다  장점이 많은 카메라 1). 세계에서 가장 작은 SLR 카메라 주머니에 쏙 들어가는 사이즈의 진짜 SLR 카메라로 무게도 가볍고 부담 없이 들고 다닐 수 있어 여행이나 일상 스냅에 적합합니다. 2). 교환식 렌즈 시스템 외모(크기)와는 다르게 교환 렌즈를 사용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기본 번들 24mm 렌즈 외에도 18mm, 50mm, 접사 렌즈 등이 출시되어 있습니다. 작은 크기에도 렌즈 마운트를 통해 사진 스타일에 맞게 렌즈를 바꿔가면서 찍는 재미가 있습니다. 3). 완전 자동 노출 (프로그램 AE) 복잡한 설정 없이 셔터만 누르면 자동으로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