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포토스토리인 게시물 표시

따뜻한 감성과 실용성의 야시카 카메라

이미지
디지털 시대와 스마트폰이 대중화된 이후에도 필름카메라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의 감성을 자극하면서 계속해서 필름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많은 카메라 브랜드 중에서도 야시카(Yashica)는 합리적인 가격과 가성비가 뛰어난 성능,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로 사랑을 받아온 브랜드입니다. 야시카 필름카메라의 역사와 야시카 렌즈와 광학 성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야시카의 역사 야시카(Yashica) 는 1949년 일본 오사카에서 설립된 야시마 세이키(Yashima Seiki Company)에서 출발했습니다. 초기에는 전기 부품을 제조하던 회사였으나, 1953년부터 본격적으로 카메라 제작에 나서며 이름을 야시카(Yashica)로 변경하게 됩니다. 1950~60년대 일본 카메라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던 시기에 등장해서 중형 필름카메라, 35mm 카메라, TLR(이안 리플렉스), 전자식 자동카메라 등의 분야에서 혁신적인 제품들을 선보이며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특히 독일 콘탁스(Contax) 브랜드와 협력하면서 기술력과 광학 품질이 한층 더 향상되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Yashica 635는  120 중형 필름과 함께 35mm 필름까지 사용할 수 있는 독특한 모델입니다. 야시카 카메라의 특징 야시카는 라이카나 니콘처럼 최고급 시장을 타겟으로 한 브랜드는 아니었지만, 그만큼 대중성과 실용성에서 큰 강점을 지녔습니다. 요즘에도 "가난한 자의 라이카" 라고 불릴 정도로 광학적 성능은 결코 무시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인정이 되고 있습니다. 경제성과 품질의 균형: 합리적인 가격대에도 불구하고 정밀한 기계식 셔터, 뛰어난 렌즈 품질을 제공해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널리 사용했습니다. 혁신적인 전자기술 도입: 1970년대 이후 전자식 노출계, 오토포커스, 프로그램 모드 등 전자 기술을 적극 도입하며 자동화 흐름을 선도했습니다. 콘탁스와의 제휴: 독일의 명문 브랜드 콘탁스와 제휴하며 칼자이스 렌즈를 탑재한 고성능 모델도 다수 출시했습니다. 야시카는 1983...

M42렌즈의 매력에 빠지다. 디지털 카메라와의 이종교배

이미지
 필름카메라를 이용한다면 올드렌즈에도 관심이 많을 듯합니다. 올드렌즈 중에서도 M42마운트의 렌즈 중에는 우수한 렌즈들이 많이 있습니다. 보케(Bokeh)가 화려하면서 콘트라스트가 뛰어난 특징을 가지며 여러 카메라 브랜드와도  호환성이 좋은 편입니다. 나사산(스크루) 방식의 이 마운트는 20세기 중반 다양한 제조사에서 채택하며 전성기를 누렸으며, 현재까지도 수많은 필름카메라 이용자들 사이에서 꾸준하게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카메라에 변환 어댑터로 장착해 사용하는 "이종교배" 방식은 색다른 재미와 독특한 표현력을 선사해주고 있습니다. M42 마운트의 올드렌즈들은 대체로 진득한 색감에 보케가 화려한 편입니다. M42 마운트란? M42는 지름이 42mm의 나사산 방식으로 만들어진 렌즈 마운트입니다. 주로 초기의 펜탁스(Pentax), 제니스(Zenit), 프락티카(Praktica) 등의 카메라에 사용되었으며, 단순한 구조 덕분에 다양한 카메라 브랜드와 호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어댑터만 있다면 캐논, 소니, 후지필름 등의 미러리스 카메라에 손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팔방미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M42 마운트 올드렌즈와 특징 1. Helios 44-2 58mm f/2 제조사: KMZ (러시아) 특징: 회오리 보케(swirl bokeh)로 유명 따뜻하고 붉은 기운이 도는 색감과 빈티지한 필름 느낌의 사진을 얻을수 있습니다. 콘트라스트가 낮은 편으로 소프트한 이미지 연출 가능하여 인물촬영 시 독특한 매력의 표현이 가능합니다. 저렴한 가격에도 불구하고 개성 있는 보케와 감성적인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Carl Zeiss Jena Flektogon 35mm f/2.4 제조사: Carl Zeiss (동독) 특징: 뛰어난 해상력과 최소 20cm의 짧은 최소 초점거리 자연스러우면서 뉴트럴한 색조를 보여주고  콘트라스트는 중간에서 약간 강한 편으로 도시 풍경이나 일상 스냅에 적합니다. 실용...

필름카메라 Vs 즉석카메라(폴라로이드) Vs 디지털카메라의 차이점 정리

이미지
필름카메라와 즉석카메라(폴라로이드), 디지털카메라의 차이점을 아시나요? 모든 카메라는 렌즈를 통해 빛을 카메라 내부로 받아들이면서부터 사진이 만들기 시작하게 됩니다. 카메라 내부에서 그 이미지를 어떻게 처리해서 기록하느냐에 따라서 디지털과 필름카메라로 구분이 된다고 할수 있습니다. 이제 막 카메라를 구입해서 사용하는 분들은 사진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잘 알지 못하기에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카메라의 차이점도 알기가 어렵습니다.  간단하게  사진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카메라 그리고 즉석카메라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사진의 원리 우선은 사진이 만들어지는 원리부터 조금 이해를 해야 합니다.  모든 사물은 고유한 색상을 갖고 있고 빛을 반사하게 됩니다. 이 반사된 빛이 카메라 렌즈를 통해 카메라 내부로 들어오게 됩니다. 렌즈는 빛을 모아서 하나의 상(이미지)을 형성해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카메라 내부로 들어온 빛이 감광체에 닿으면서 사진이 만들어지는 됩니다.(사진이 기록) 여기서  감광체로 필름(화학반응으로 빛을 기록)이 들어가면 필름 카메라가 되고, 이미지센서(CMOS, CCD)가 들어가면 디지털 카메라가 됩니다. 누구나 갖고 다니는 스마폰에도 이미지 센서가 들어가 있기에 디지털 카메라의 일종이라 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즉석카메라는 필름 카메라와 같은 화학적 반응을 통해서 이미지를 처리하지만, 카메라에는 약품이 포함되어 있는 특수한 필름(인화지)이 들어가게 됩니다.  이 특수한 필름이 촬영과 동시에 카메라 밖으로 배출되면서 약품처리가 되어서 2-3분내로 사진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렌즈로 모아진 빛이 필름이나 이미지 센서를 통해서 사진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또한, 빛이 카메라로 들어오는 과정에서 렌즈의 조리개나 셔터스피드(셔터막)의 적절한 제어를 통해서 빛의 양을 조절하게 됩니다. 이렇게 촬영 환경과 촬영자의 의도에 따라서 원하는 만큼 제어를 한다면 자신이 원하는 ...

셔터와 조리개의 황금비 카메라 노출시스템의 이해

이미지
필름 카메라든 디지털카메라든 사진이 찍히는 원리는 동일합니다. 렌즈로 모아진 빛이 카메라 내부의 셔터막을 통과하여 필름(또는 디지털카메라는 이미지센서)에 닿으면서 사진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사진이 밝게 나오기도 하지만 때로는 어두운 사진이 나오기도 합니다. 동일한 광원과 촬영조건이라도 촬영자에 따라서 사진이 어둡거나 밝게 나오기도 합니다. 이는 사진의 노출과 관련된 문제로 사진의 노출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3가지 요소는 조리개(Aperture), 셔터스피드(Shutter Speed), 필름감도(ISO)입니다. 이 세 가지의 요소들은 사진의 밝기뿐 아니라 사진의 심도와 표현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 3가지 핵심 요소의 개념과 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여 사진의 품질을 결정 하는지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합니다.  1. 조리개 (Aperture) 조리개는 카메라 내부로 빛이 통과할수 있는 통로(구멍)이라고 이해를 하면 되는데요. 조리개는 카메라 렌즈 안에 들어있는 얇은 막으로 되어 있고, 이 막을 열었다 닫았다 하면서 빛이 들어오는 양을 조절하게 됩니다.  조리개 숫자가 커질수록 구멍은 작아지고, 숫자가 작아질수록 구멍이 커지면서 많은 빛이 들어오게 됩니다. F32, F16, F11, F8, F5.6 F4, F2.8, F2.0, F1.8, F1.4 등으로 표기되며, 숫자가 작을수록 구멍이 크고 숫자가 커질수록 빛이 들어오는 구멍도 커지게 됩니다.  F1.4에 비해서 F2.0은 두 스탑 어두운 사진이 나오게 됩니다(동일한 조건에서) 이러한 조리개값은 빛의 양도 조절을 하면서 사진의 심도(Depth of Field)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조리개 숫자가 커질수록 구멍은 작아지고 심도가 깊어지면서  피사체와 배경 모두가 선명한 사진이 만들어지게 됩니다(팬포커싱) 반대로 조리개 숫자가 작아질수록 구멍은 커지면서 심도가 얕아지고 피사체는 선명하지만 배경이 흐려지는 아웃포커싱이 됩니다.  주로 풍경사진 촬영시에는 F5.6 ...

망원 세계의 작은 혁명 반사렌즈(Reflex Lens)를 아시나요?

이미지
  카메라 렌즈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독특한 구조와 사진 결과물로 주목받는 렌즈가 있습니다. 바로 반사렌즈(Reflex Lens)입니다. "미러 렌즈", "카타디오프트릭 렌즈(catadioptric lens)"라고도 불리는 이 렌즈는 반사경을 이용해 빛을 모으는 방식으로 설계된 특수한 렌즈입니다. 렌즈 특성상 부피가 크면서 초점 거리가 길고 고정 조리개를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가장 큰 특징이라면 사진이 부드러우면서 도넛 보케가 화려하다는 점입니다. 가끔 엉뚱하거나 재미있는 사진을 찍고 싶다면 잠시 반사렌즈를 마운트 해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듯합니다.  경제적인 가격으로 도넛보케가 환상적인 초망원의 세계를 즐겨보세요!  반사렌즈(Reflex Lens)의 원리 반사렌즈는 이름 그대로 거울(반사경)을 활용해 초점을 맞추는 렌즈입니다. 굴절식 렌즈처럼 유리 렌즈만을 사용하지 않고 렌즈 내부에 오목거울과 볼록거울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 구조는 천체망원경과 유사하며, 빛을 여러 번 반사시켜 길이는 짧게하거나 초점거리는 길게 만들 수 있습니다. 즉, 500mm 이상의 초망원 촬영을 작은 크기의 렌즈로 가능하게 해주는 장점이 큰 렌즈입니다. 반사렌즈는 보통 다음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전면 오목거울: 렌즈 전면 안쪽에 위치하며, 빛을 뒤쪽으로 반사합니다. 중앙 볼록거울: 후면에 위치해 다시 한 번 빛을 반사하여 카메라 센서나 필름으로 유도합니다. 중앙 차폐(Secondary Mirror Block): 렌즈 중앙에 위치한 반사체는 빛을 차단하기 때문에 특유의 도넛형 보케를 만들어냅니다. ▶  반사렌즈와 일반 광학렌즈의 비교(차이점) 항목  반사렌즈 (Reflex Lens) 일반 광학 렌즈 (Refractive Lens) 광학방식 반사 + 굴절 (거울 사용) 굴절 (유리 렌즈만 사용) 크기/무게 작고 가벼움 크고 무거움 (특히 망원) 초점거리 길지만 컴팩트 초점거리 비례해서 렌즈도 커...

80년대 수학여행의 추억, 올림푸스 Pen 카메라

이미지
1980년대, 대한민국의 중고등학교를 다닌 세대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찍어봤을 카메라가 있습니다. 바로 올림푸스 Pen(Olympus Pen)이라는 35mm 필름카메라입니다. 지금처럼 스마트폰 하나면 사진을 수백 장 찍을 수 있는 시대와는 달리, 당시의 학생들에게 카메라란 특별한 날에만 만져볼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의 기록과 셀레임이었습니다. 그 기록을 담당했던 주인공이 바로 올림푸스 Pen 카메라였던 것이죠! 24장 필름을 넣고 48장의 추억을 기록하다. 올림푸스 Pen은 하프 프레임의 카메라(Half-frame camera)입니다. 일반 필름 한 장에 두 장의 사진을 찍을 수 있어, 36장짜리 필름 한 통으로 무려 72장을 찍을 수 있는 경제성이 뛰어난 카메라였습니다. 당시엔 필름의 구매비용과 현상, 인화비용이 결코 저렴하지 않았고, 처음으로 만져보는 카메라가 낮설면서 고장에 대한 걱정이 있었지만 이 카메라는 구도만 잡고 셔터만 누르면 준수한 사진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그야말로 가성비 최고에 누구나 쉽게 찍을수 있었던 특성으로 수학여행이나 소풍, 체육대회 같은 행사에서 빠지지 않는 렌털카메라의 대표 모델이었습니다. 1980년대 학찰시절의 추억이 가득한 올림푸스 Pen 하프 필름카메라  셔터만 누르면 훌륭한 사진이 나왔다 Pen 시리즈는 작고 가벼운 바디, 그리고 조작이 쉬운 구조 덕분에 카메라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도 어렵지 않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사진관에서 렌털시 아저씨가 미리 필름을 넣어주었기에 간단한 노출 설정만으로 누구나 간단하게 학창 시절의 추억을 찍고 기억하는 게 가능했던 것이죠. 또한  피사체(인물)와 1.5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해주면 선명한 사진이 나왔기에 초점을 맞출 필요도 없었습니다. 지금도 장농에는 그때 올림푸스로 찍었던 추억이 빛바랜 모습으로 남아 있습니다  올림푸스 Pen EE  올림푸스 Pen EE 시리즈(Pen EE, EE-2, EE-3)는 기술과 실용성의 절묘한 조화를 보여줍니다....

평등과 기다림의 미학, 롤라이플렉스 TLR카메라

이미지
롤라이플렉스(Rolleiflex)는 1920년 창립된 독일의 명품 카메라 브랜드로, 특히 이안 리플렉스(Twin-Lens Reflex) 방식의 클래식 카메라로 대표되는 브랜드입니다. 1929년 세계 최초의 상용화된 이안 리플렉스 카메라를 선보이며 사진계의 혁신을 이끌었고, 이후  6x6 중형 포맷을 기반으로 고화질과 정밀한 기계적 완성도, 아름다운 디자인으로 전 세계 사진가들의 선택을 받게 됩니다.  1930~1970년대에 걸쳐서 보도사진, 예술사진, 다큐멘터리 사진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면서 시대의 기록자 역할을 했던 충실히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롤라이플렉스는 단순한 촬영 도구를 넘어, 역사와 문화, 예술이 공존하는 카메라로 오랜 시간 대중들의 사랑받아 왔습니다. 이안 리플렉스 (Twin-Lens Reflex) 카메라란? 이안 리플렉스 카메라는 말 그대로 카메라 전면에 2개의 렌즈가 달린 반사식 카메라입니다. 보통 위에 있는 렌즈는 뷰파인더에 상을 맺게 하는 역할을 하고, 하단에 있는 렌즈가 실제 촬영을 담당하는 ‘촬영 렌즈’로 구성이 됩니다.  촬영자가 초점링을 돌리면 2개의 렌즈가 함께 움직이면서 초점을 잡고 필름에 이미지를 기록하게 됩니다. 2개의 렌즈는 같은 초점거리로 배치되어 있기에 화각과 프레이밍이 일치하고, 뷰파인더는 위에서 내려다보는 방식(웨이스트 레벨 파인더, Waist-Level Finder)으로, 차분하게 집중해서 구도를 잡고 촬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셔터 소음이 거의 없고 진동도 적어서 조용한 특징을 갖고 있고 이러한 구조 덕분에 스트리트 포토, 인물사진, 다큐멘터리 분야에서 많은 사진가들이 선택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조용한 촬영 환경과 6X6 정사각형 프레임의 정중함이 주는 매력 넘치는 롤라이플렉스  롤라이플렉스 대표 모델 5선 1. Rolleiflex 2.8F Planar 80mm f/2.8 렌즈 장착.(Schneider Xenotar 80mm f/...

디지털 사진과 다른 필름 사진만의 "찐" 감성 분석

이미지
 똑같이 찍었는데, 왜 필름이 더 따뜻해 보일까? 요즘 SNS 피드를 넘기다 보면 종종 눈길이 멈추는 사진이 있어요. 화려하거나 고화질인 건 아닌데, 왠지 모르게 따뜻하고 아련하게 마음을 건드리는 사진들. 자세히 보면 대부분 필름카메라로 찍은 사진이에요. “도대체 뭐가 그렇게 다르길래?” 디지털 사진과 필름 사진, 같은 장면을 담아도 전혀 다른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그 "찐 감성 차이" 에 대해서 정리해볼까 합니다. 1. 완벽하지 않아서 더 감성적인, 아날로그의 질감 디지털 사진은 픽셀 단위로 이미지 정보를 완벽하게 표현하고 기록을 하기에 깔끔하고 선명하고 정확해요.  하지만 필름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은 달라요. 노이즈와 색 번짐, 빛샘이나 흐릿함 같은 요소들이 섞이면서 예측 불가능한 결과물이 나와요.  이 불완전함이 오히려 감성을 자극해요. 마치 오래된 기억처럼 조금 흐릿하면서 살짝 빛바랜 듯한 사진이 만들어지거든요. 예를 들자면, 저녁노을 아래 친구를 찍었는데 햇살이 번져 얼굴이 흐릿하게 나온 사진. 디지털이라면 삭제했을 텐데, 필름이라서...

서울 대구 대전 전국의 필름카메라 현상소 (디지털 스캔과 사진인화)

이미지
 필름 카메라는 디지털 카메라에 비해서 모든 게 느리고 번거롭습니다. 촬영 후 사진 결과물을 확인하려면 의무적으로 현상이라는 약품 처리 과정과 인화(또는 스캔)을 마쳐야만 비로써 본인이 촬영했던 이미지를 만나게 됩니다. 스마트폰으로 모든 게 가능한 세상에 웬 필름 카메라이냐 하겠지만, 요즘 청소년들 사이에서 필름 카메라가 주는 아날로그적인 감성이 인기입니다. 셔터만 누르면 깨끗하고 예쁜 사진이 만들어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달리  필름 카메라는 필름을 넣는 과정에서 부터 벽에 부딪히기도 하고  빛의 양에 따라 직접 노출을 설정해서 촬영해야 하는 기본 지식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촬영과 현상, 인화의 모든 과정이 곧 좋은 사진을 만들기 위한 과정입니다. 또한,  촬영 후에는 전문 필름 현상소로 가서 필름을 현상해야만 하고,  현상된 필름으로 인화 또는 스캔을 해야만 비로써 본인이 촬영한 사진을 만날 수가 있습니다. 이런 번거로움과 시간이 필요하지만 필름 카메라만의 몽롱하고 진득한 느낌은 사진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