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등과 기다림의 미학, 롤라이플렉스 TLR카메라

이미지
롤라이플렉스(Rolleiflex)는 1920년 창립된 독일의 명품 카메라 브랜드로, 특히 이안 리플렉스(Twin-Lens Reflex) 방식의 클래식 카메라로 대표되는 브랜드입니다. 1929년 세계 최초의 상용화된 이안 리플렉스 카메라를 선보이며 사진계의 혁신을 이끌었고, 이후  6x6 중형 포맷을 기반으로 고화질과 정밀한 기계적 완성도, 아름다운 디자인으로 전 세계 사진가들의 선택을 받게 됩니다.  1930~1970년대에 걸쳐서 보도사진, 예술사진, 다큐멘터리 사진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면서 시대의 기록자 역할을 했던 충실히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롤라이플렉스는 단순한 촬영 도구를 넘어, 역사와 문화, 예술이 공존하는 카메라로 오랜 시간 대중들의 사랑받아 왔습니다. 이안 리플렉스 (Twin-Lens Reflex) 카메라란? 이안 리플렉스 카메라는 말 그대로 카메라 전면에 2개의 렌즈가 달린 반사식 카메라입니다. 보통 위에 있는 렌즈는 뷰파인더에 상을 맺게 하는 역할을 하고, 하단에 있는 렌즈가 실제 촬영을 담당하는 ‘촬영 렌즈’로 구성이 됩니다.  촬영자가 초점링을 돌리면 2개의 렌즈가 함께 움직이면서 초점을 잡고 필름에 이미지를 기록하게 됩니다. 2개의 렌즈는 같은 초점거리로 배치되어 있기에 화각과 프레이밍이 일치하고, 뷰파인더는 위에서 내려다보는 방식(웨이스트 레벨 파인더, Waist-Level Finder)으로, 차분하게 집중해서 구도를 잡고 촬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셔터 소음이 거의 없고 진동도 적어서 조용한 특징을 갖고 있고 이러한 구조 덕분에 스트리트 포토, 인물사진, 다큐멘터리 분야에서 많은 사진가들이 선택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조용한 촬영 환경과 6X6 정사각형 프레임의 정중함이 주는 매력 넘치는 롤라이플렉스  롤라이플렉스 대표 모델 5선 1. Rolleiflex 2.8F Planar 80mm f/2.8 렌즈 장착.(Schneider Xenotar 80mm f/...

필름카메라를 가방에 넣었다.캐논 QL17

이미지
늘 반복되는 일상이 지루하고 답답할 때 나는 아날로그의 감성에 마음이 끌린다. 사진을 찍고 바로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DSLR은 편리하지만 아무런 느낌이 없다. 때로는 ‘기다림’이라는 감정에서 오는 설렘이라는 특별함이 그리워진다.  오래전 서랍 속에 넣어뒀던 필름을 현상하고 스캔을 하고나면 오래된 첫사랑을 만난 듯 머릿속에 엔도르핀이 솟아나면서 묘한 감정을 느끼게 된다. 그렇게 필름카메라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여러 브랜드를 찾아보다가 운명처럼 캐논 QL17을 알게 되었다. 1. 캐논 QL17을 만나다 캐논 QL17 GIII 는 1960년대 후반부터 70년대까지 생산된 35mm 필름카메라로, 당시엔 ‘서민의 라이카’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로 성능과 디자인이 뛰어난 기종이었다. 작고 단단한 외형, 조리개와 셔터 속도를 직접 조절할 수 있는 수동 조작 방식, 그리고 무엇보다도 렌즈의 선예도가 정말 뛰어나다는 평이 많았다. 캐논이기에 광학 성능은 어느 정도 기대를 해도 좋을 거 같다. 손안에 쏙 들어오는 크기와 무게감은 평소 외출할 때 가볍게 들고 다니기에 딱 좋다. RF 카메라는 셔터를 누를 때 느껴지는 약간의 저항감, 그리고 카메라 내부에 필름을 넣는 과정에서 느껴지는 아날로그의 기계적인 감성은 특별하다. 특히 QL17의 ‘QL’은 Quick Load의 약자인데, 이 기능 덕분에 필름 장전이 매우 간편하다. 필름카메라 초보자라도 실패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어서 입문용 필름카메라로도 자주 추천된다. 캐논의 뛰어난 광학성능이 돋보이는 입문자용 RF필름카메라  캐논 QL17 GIII의 기본 정보 제조사 : Canon (캐논) 출시년도 : 1972년 (GIII 모델 기준) 필름포맷 : 35mm 필름 렌즈 : Canon 40mm F1.7 고정 렌즈 셔터속도 : 1/4초 ~ 1/500초 조리개 : f/1.7 ~ f/16 측광 방식 :  CdS셀 이용한 자동노출 또는 수동 포커싱 : RF 수동 초점 (Rangefinder 방식) 필...

한라산 등산코스와 둘레길 여행 그리고 교통편 정리

이미지
한라산 (1,947m) 은 한국에서 가장 높으며, 태고의 원시림과 사계절 내내 아름다운 자연경관으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 명산입니다. 한라산을 오르는 코스는 크게 백록담 코스와 윗세 오름(남벽분기점) 코스로 구분이 됩니다. 주변으로 어승생악과 석굴암이 있고 가족이 함께 걸으면서 문화와 역사를 탑방할 수 있는 자연 숲길인 둘레길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백록담 코스는 사전 방문 예약이 필수이며 성판악과 관음사 2개 코스가 있으면, 윗세 오름은  영실과 어리목 그리고 돈내코에서 출발이 가능합니다.  한국에서 가장 높고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 제주 한라산 국립공원의  등산 코스 정리와 둘레길에 대해서 정리하고 교통편을 알아봅니다. 한라산은 백록담(관음사, 윗세오름)과 윗세오름(영실,어리목,돈내코)으로 등산로가 구분됩니다.  1-1 백록담 코스 - 성판악 코스 1-2. 백록담 코스 - 관음사 코스 2-1. 윗세 오름 - 영실코스 2-2. 윗세 오름 - 어리목코스 2-3. 윗세 오름 - 돈내코 코스 3-1. 주변 볼거리 - 어승생악 3-3. 주변 볼거리 - 석굴암 4. 한라산의 등산 예약과 교통정보 5. 한라산 둘레길(9코스 약 80km) 1. 백록담 코스 1-1). 성판악 코스 성판악→쏙 밭 대피소 → 진달래밭(7.3㎞)→백록담(9.6㎞) 총 9.6㎞ 3시간 30분에서 4시간 정도가 걸리는 장거리입니다. 쏙 밭 대피소까지는 아주 완만한 코스로  등산 초반에 몸을 풀면서 천천히 걷기가 좋습니다. 이후 사라 오름 갈림에서부터 조금씩 오르막이 시작되면서 진달래밭 대피소 이후부터 본격적인 오르막이 시작됩니다. 오르막이 시작되지만 하늘이 열리고 조망이 트이기에  크게 힘들지는 않을 듯합니다. 성판악 코스는 관음사에 비해서 등산로 정비가 잘 되어 있기에, 초보자들도 시간적 여유를 가진다면 충분히 즐거운 산행이 될 수 있습니다. 제주공항 2번 게이트 앞에서  181번 버스,  제...

중형 필름카메라 마미야(mamiya)의 추억

이미지
 마미야는 20세기 중형 필름 카메라의 대명사처럼 알려진 브랜드로 1940년 일본 도쿄에서 창립된 카메라 전문 제조회사입니다. 창립자인 "세이이치 마미야(Seiichi Mamiya)"는 고성능 기술력과 정밀한 카메라 설계를 기반으로, 전문 사진작가를 위한 카메라를 제작하고자 했습니다.  특히 중형 필름 카메라 분야에서 마미야는 독보적인 입지를 다지며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브랜드로 성장하게 됩니다. 마미야에서만 느낄 수 있는 감성과 가치 그리고 역사적 의의에 대해서 정리해 봅니다. 마미야의 역사적 의의 마미야는 단순히 카메라 제조사 그 이상이었습니다. 20세기 중후반, 마미야는 광고, 패션, 스튜디오 촬영에 최적화된 중형 카메라를 생산하면서 전문 사진작가들의 표준 장비로 자리 잡았습니다. 고해상도 이미지를 위한 6x4.5cm, 6x6cm, 6x7cm 필름 포맷을 중심으로 다양한 시스템 카메라를 개발해 사진예술의 기술적 진보를 이끌었습니다.  2000년대 초 디지털 전환에 발맞춰 디지털 백(digital back)을 장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중형 카메라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디지털 사진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도 했습니다. 마미야만의 색감과 감성 마미야 카메라의 사진은 일반적인 35mm 필름 카메라보다 압도적인 해상력과 깊이감을 자랑합니다. 큰 필름 면적 덕분에 피사체의 디테일이 살아나며, 인물 촬영 시 아웃포커싱이 자연스러우면서 부드러운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중형 포...

20대 필름 카메라 입문자를 위한 올림푸스 OM-1N 

이미지
요즘 필름 카메라에 관심 가지는 분들 많죠? 스마트폰으로 손쉽게 사진을 찍는 시대지만, 뭔가 특별한 감성을 찾는다면 필름 카메라는 그 이상의 매력을 줍니다. 저도 그 감성에 이끌려 첫 필름 카메라로 "올림푸스 OM-1N(Olympus OM-1N)"을 소개받고 며칠을 중고마켓에 들락거리면서 최근에 들이게 되었어요.  오늘은 입문자의 시선에서 이 카메라에 대해 솔직한 사용 후기와 장단점을 알려드릴게요! 20대의 감성을 담은 클래식 필름카메라, 올림푸스 OM-1N 클래식 감성에 푹 빠진 첫 필름 카메라 경험 처음 필름 카메라를 알아볼 땐 종류가 너무 많아서 혼란스러웠어요!  니콘, 캐논, 펜탁스 같은 브랜드 이름은 알고 있었지만, 자동 필름 카메라, 수동 카메라, SLR, RF 카메라 등의 개념이나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도 쉽지가 않았거든요. 결국 기초 개념부터 하나씩 찾아서 이해를 하고 나니 결론은 반자동 촬영 기능이 포함된 SLR 필름 카메라로 가야 된다는 걸 알았어요.  그래야만 확장성이 가능하고 나름대로 제가 원하는 방향으로 사진을 찍고 기록할 수가 있다는 것이에요!그중에서도 OM-1N은 필름 카메라 입문자에게 정말 추천이 많은 모델이에요.  1) 왜 올림푸스 OM-1N이어야 하나? - 첫눈에 딱 이거야! 작고 가벼움: 다른 수동 필름 카메라에 비해 가볍고, 그립감도 좋아서 들고 다니기 좋아요. 심플한 조작: 수동 카메라지만 조리개, 셔터속도, ISO만 알면 충분히 쓸 수 있어요. 전통적인 아날로그 감성: 기계식 셔터 소리, 다이얼 조작감이 정말 감성 넘쳐요! 희소성과 수집 가치 : 올림푸스 Om-1과 달리 Om-1은 기능이 일부 추가된 모델로 구하기가 어려운 편이에요! 더 애착이 가는 이유입니다. 2). 외관과 첫인상 – 작고 예쁜 클래식 디자인 처음 OM-1N을 손에 쥐었을 때 정말 놀랐어요. "생각보다 작고 가볍다!"는 게 첫 느낌이었죠. 보디는 메탈 재질인데 무겁지 않고, 각진 디자인에 클래식한 블랙과 실버 색상이 너...

디지털 사진과 다른 필름 사진만의 "찐" 감성 분석

이미지
 똑같이 찍었는데, 왜 필름이 더 따뜻해 보일까? 요즘 SNS 피드를 넘기다 보면 종종 눈길이 멈추는 사진이 있어요. 화려하거나 고화질인 건 아닌데, 왠지 모르게 따뜻하고 아련하게 마음을 건드리는 사진들. 자세히 보면 대부분 필름카메라로 찍은 사진이에요. “도대체 뭐가 그렇게 다르길래?” 디지털 사진과 필름 사진, 같은 장면을 담아도 전혀 다른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그 "찐 감성 차이" 에 대해서 정리해볼까 합니다. 1. 완벽하지 않아서 더 감성적인, 아날로그의 질감 디지털 사진은 픽셀 단위로 이미지 정보를 완벽하게 표현하고 기록을 하기에 깔끔하고 선명하고 정확해요.  하지만 필름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은 달라요. 노이즈와 색 번짐, 빛샘이나 흐릿함 같은 요소들이 섞이면서 예측 불가능한 결과물이 나와요.  이 불완전함이 오히려 감성을 자극해요. 마치 오래된 기억처럼 조금 흐릿하면서 살짝 빛바랜 듯한 사진이 만들어지거든요. 예를 들자면, 저녁노을 아래 친구를 찍었는데 햇살이 번져 얼굴이 흐릿하게 나온 사진. 디지털이라면 삭제했을 텐데, 필름이라서...